카테고리 없음 / / 2025. 3. 15. 22:56

TIGER 화장품 ETF, 지금 투자해될까? 상승 요인과 리스크 분석

 

1. Tiger 화장품 ETF란 무엇인가?

 국내 대표적인 화장품 관련 ETF관련주로, 화장품 브랜드, 제조전문회사(OEM)+유통업체에 분산투자되어있는 ETF


📌Tiger 화장품 ETF 사기전 어떤것을 중점적으로 봐야할까?

💡평소에서 ETF는 분산투자라, 개별종목실적은 신경 안써도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지금까지 이렇게 생각하셨다면, 당장 그 생각을 버리시길 바란다.
Tiger 화장품ETF(139260)같은 섹터 ETF는 보유하고있는 핵심종목들의 실적과 주가흐름이 ETF 주가에 큰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귀찮더라도, ETF에서 비중이 높은 종목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투자해야한다.
 

📌 Tiger화장품 ETF 구성종목

 
Tiger 화장품 ETF의 종목을 살펴보면 단순 개별종목의 평균이 아니라 종목마다 구성비중이 다르다는것을 알수가 있다.
가장 비중이 높은것은 파마리서치 12.26% ,가장 적게 비중을 차지하는것은 펌텍코리아 2.68%까지 비중이 최고와 최저가 10%이상 차이난다.
이렇게 비중차이가 나면 ETF 주가나, 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하지 않은가? 다음 문단에서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비중차이가 ETF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 가정 조건

✅ ETF 총 가격: 10,000원 (이해하기 쉽도록 실제가격이아닌 단순하게 가정함)
파마리서치 기업 비중: 12.26% (= 1,226원)
펌텍코리아 기업 비중: 2.68% (= 268원)


① 두 종목이 각각 +10% 상승하면?

📌 파마리서치 (비중: 12.26%) +10%상승 효과
✔ 1,226원 × 10% = 122.6원 상승
✔ ETF 전체 가격: 10,122.6원 (+1.23%)
📌 펌텍코리아 (비중: 2.68%) +10%상승 효과
✔ 268원 × 10% = 26.8원 상승
✔ ETF 전체 가격: 10,026.8원 (+0.27%)

똑같이 10%씩 상승하더라도 Tiger 비중이 더 높은 파마리서치가 약 4.6배나 크다는것을 알수있다.

 

🚨 따라서 ETF에서 비중높은 종목의 분석은 아주 중요하다고 볼수있다.
🚨 A기업(12.26%)이 상승하면 ETF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B기업(2.68%)보다 약 4.6배 큼!

② 두 종목이 각각 -10% 하락하면?

📌 파마리서치 (비중: 12.26%) 하락 효과 -10%상승 효과
✔ 1,226원 × (-10%) = -122.6원 하락
✔ ETF 전체 가격: 9,877.4원 (-1.23%)
📌 펌텍코리아 (비중: 2.68%) 하락 효과 -10%상승 효과
✔ 268원 × (-10%) = -26.8원 하락
✔ ETF 전체 가격: 9,973.2원 (-0.27%)

 

🚨 하락할때 상승할때처럼 똑같이 비중높은 파마리서치가 ETF전체가격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
🚨 A기업이 10% 하락하면 ETF 전체가 -1.23% 하락하지만, B기업이 10% 하락하면 ETF는 -0.27% 하락!
 

 📢 결론: 비중이 높은 종목이 ETF 방향을 결정한다!

✔ 같은 변동폭을 보여줘도 ETF에서 비중높은 종목이 더 큰영향을 미친다.

✔ 그래서 ETF투자시 비중이 높은 종목의 상세분석은 필수다!

 

이제 Tiger 화장품 ETF의 상승,하락 원리에 대해 알았으니, Tiger화장품 ETF의 기술적으로 차트를 분석을 하고, 개별종목의 최근 상승사유와 기술적인차트 분석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3. Tiger화장품 ETF 개별종목 분석

📌 Tiger 화장품 ETF 차트

1달기준으로 본 차트

차트상 바닥을 찍은거 같고 최근 바닥에서 거래량 급증이 마음에 들긴한데 개별종목이아니라 ETF기때문에 마음에 걸린다.
✅ 차트쟁이 관점으로 볼땐 바닥 여기서 떨어질때마다 분할매수계획이라면 아주 매력적인 가격대

이제는 Tiger화장품ETF의 개별종목을 비중이 높은순으로 차트,호재를 분석해보겠습니다

파마리서치

📌 파마리서치 

✅ 차트를 보면 지루한조정을 뚫고 큰 상승을 보여주고 있음. 단지 조심스러운것은 차트상 각도가 너무 급격하다는 점

언제든지 조정이 와도 안이상하고, 조정이 온다면 Tiger 화장품 ETF내에서 비중이 12%로 가장 높기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점이 걸림.

✔ 파마리서치가 왜 저렇게 크게 상승했냐

첫번째, 실적 호조
2023년 매출액: 약 2,900억 원 (전년 대비 +25% 성장)
영업이익: 약 900억 원 (전년 대비 +30% 증가)
피부·미용 관련 의료기기 및 주사제 판매 호조
두번째, 리쥬란 글로벌 시장 확대
중국, 유럽, 동남아 등 해외 매출 비중 증가
중국 NMPA 승인 이후 현지 판매량 급증
세번째, 신제품 출시 및 신사업 진출
2024년 리쥬란 신제품 출시 (차세대 피부재생 제품)
신규 의료기기 및 미용 솔루션 확대


✅ 주식에서 제일 좋은모습이 미래 호재빵빵한데, 호재만큼 실제로 실적도 잘나오는게 가장 좋다.
실적을 보면 매출액, 영업이익 둘다 전년대비 20%이상 올랐으니 주가가 천장을 뚫을수밖에 없을것같다.

근데 우리는 지난 과거보다 미래가 중요하기에 계속 저 상승차트를 보여줄지가 가장 궁금할것이다.
일단 저위의 2개의 호재는 이미 상승재료로 써먹었고, 앞으로는 미래의 호재들이 중요한데 그호재들을 살펴보자.

 

✔파마리서치 호재분석

1. 해외 진출 확대
• 미국 FDA 승인 준비 중 → 북미 시장 진출 시 대형 성장 기회
• 동남아 및 중동 시장 개척 → 글로벌 매출 확대 기대
2. 리쥬란 라인업 확장
• 기존 제품 외에도 신경계·관절 치료제 연구 진행
• 바이오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3. 정부 규제 완화 및 시장 성장
• 국내 미용·성형 시장 연평균 성장률 10% 이상 전망
• K-뷰티·의료기기 글로벌 인지도 상승
4. M&A 및 파트너십 가능성
• 해외 기업과 합작법인 설립 검토
•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가능성

 남은 호재를 살펴보니 가장 좋은게 미국 FDA승인이 남아있고, 국내 미용,성형시장도 연평균10%이상 성장 전망이라니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아주 좋아보인다.

거기다가 리쥬란 라인업 확장까지 한다고 하니, 나쁘지는 않아보임. 

단, 여기서 주의해야할점은 매출,실적이 둔화되거나, 새로운호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주가는 꼬라박힐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제는 실적이 양호하게 잘나오는지 파악하게 가장중요

 

코스맥스

코스맥스차트는 하락추세를 뚫고 상승하는 중인데, 전고점에서 크게 조정받고 다시 상승하고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왜 주가가 하락-상승 반복의 연속이었는지 알아보자.

  코스맥스의 매출 비중 40%는 중국인데, 중국경기둔화 및 소비위축 + 중국 로컬 ODM업체들의 등장으로 기존 점유율을 유지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코스맥스 최근 주가 상승이유

첫번째, 실적 개선 및 이익 회복
• 2023년 매출: 약 2.2조 원 (전년 대비 +12% 성장)
• 영업이익: 약 1,200억 원 (전년 대비 +50% 증가)
• 중국 소비 회복 및 북미 법인 턴어라운드
두번째, 중국 시장 회복세
• 중국 리오프닝 효과 및 화장품 수요 증가
• 왕홍 마케팅 및 로컬 브랜드와 협업 확대
• 중국 내 자체 생산 공장 가동률 증가 (광저우·상하이 법인)
세번째, 북미 및 유럽 시장 확장
• 글로벌 뷰티 브랜드(로레알, 에스티로더 등)와 협력 확대
• 미국 및 유럽 법인 수주 증가
네번쩨, ODM(주문자 개발 생산) 시장 점유율 확대
• 글로벌 1위 화장품 ODM 기업으로서 시장 지배력 강화
• 국내외 뷰티 브랜드의 ODM 의존도 증가

 

첫번째, 중국의존도를 줄이고 북미나 다른 유럽시장으로 눈을 돌렸고, 그게 실적으로 잘 나왔기때문에 최근 좋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음

✔코스맥스 호재 분석

1. 중국 화장품 시장 성장 지속
• 중국 화장품 시장 연평균 성장률(CAGR) +8% 전망
• 중국 로컬 브랜드와의 협업 증가로 매출 성장 가능
2. 미국 및 유럽 시장 확대
• 미국 법인 수익성 개선 및 신규 고객사 확보
• 유럽 클린뷰티 트렌드 대응으로 신규 ODM 계약 확대
3. K-뷰티 글로벌 트렌드 확산
•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해외 시장 점유율 증가
• 아시아 및 중동 시장으로의 ODM 수출 확대
4. 신제품 개발 및 친환경 트렌드 대응
• 클린뷰티 및 친환경 화장품 ODM 개발 강화
• 지속가능한 포장 및 원료 개발로 ESG 경쟁력 강화
5. M&A 및 전략적 파트너십 가능성
• 글로벌 화장품 기업과 협업 및 합작법인(JV) 설립 가능성
• 신흥 시장(인도, 중동) 진출 가속화

사실 5가지중 제일 현실성있는 호재는 미국 및 유럽으로의 시장확대가 가장 기대되는 부분이고, 중국시장의 성장지속은 중국로컬경쟁업체때문에 큰 호재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워보인다.

 

에이피알

 

에이피알은 상장된지 얼마 되지않아, 조정을 끝내고 다시 올라가것으로 보임, 근데 단기간에 좀 올랐기때문에 조정이 올수도 있어보임

✔ 에이피알 최근에 왜 상승했나?

1. 고성장 실적 발표
• 2023년 매출: 약 8,500억 원 (전년 대비 +40% 성장)
• 영업이익: 약 1,200억 원 (전년 대비 +35% 증가)
• 주요 브랜드(메디큐브, 널디, 포맨트) 매출 급증
2. 메디큐브 피부미용기기(홈뷰티 디바이스) 판매 호조
• 대표 제품 ‘에어샷’, ‘부스터 힐러’ 글로벌 판매 확대
•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중국·미국 시장에서도 수요 증가
3. 해외 매출 비중 확대
• 일본, 미국, 동남아 시장 매출 증가 → 해외 매출 비중 50% 돌파
• 글로벌 유통 채널(아마존, 큐텐, 티몰 등) 확장
4. D2C(Direct to Consumer) 비즈니스 모델 성공
• 자사몰 중심 판매 전략으로 높은 마진율 유지
• AI·데이터 기반 마케팅 활용으로 고객 재구매율 증가

여기는 뭐 완벽한듯, 실적도 폭발적으로 증가해, 홈뷰티디바이스+ 해외매출 증가,

✔ 에이피알 호재정리

1.홈뷰티 디바이스 시장 성장
• 글로벌 홈뷰티 시장 연평균 성장률(CAGR) +15% 전망
• 피부과 방문 대신 가정에서 사용하는 뷰티 디바이스 수요 증가
2. 미국·중국 시장 확장
• 미국 FDA 승인 제품 확대 → 북미 시장 공략 강화
• 중국 왕홍 마케팅 및 웨이보·샤오홍슈 활용한 매출 확대 기대
3. AI·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개발
• 피부 분석 기반 맞춤형 제품 개발 추진
• D2C 모델을 활용한 구독 서비스 도입 가능성
4. 신규 브랜드 및 카테고리 확장
• 패션(널디), 향수(포맨트) 외 신규 브랜드 출시 가능성
• 헬스케어·기능성 화장품 등 신사업 진출 검토
5. IPO 이후 M&A 및 글로벌 파트너십 가능성
• 해외 뷰티 브랜드 및 유통업체와 협력 가능성
•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제휴 추진

피부과가는 비용이 워낙비싸니 홈뷰티 디바이스 시장이 크게 성장하는건 당연해보이고, 일본,동남아에서 성공바탕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큰시장 중국, 미국에 공략을 강화한다니, 더 큰 실적 폭발 예상됨

 

한국콜마

한국콜마도 코스맥스처럼 중국시장 둔화+ODM시장 경쟁 심화로 최근까지 주가가 쭈우욱 하락함.

왜 주가가 지지부진했나?

1. 중국 시장 성장 둔화 및 경쟁 심화
• 중국 리오프닝 이후 기대했던 화장품 소비 회복이 예상보다 더딤.
• 중국 로컬 ODM 업체(상하이 화시, 야셴 등)의 성장으로 시장 점유율 하락.
• 주요 고객사(중국 로컬 브랜드)들의 성장 둔화 및 신제품 출시 감소로 매출 정체.

2. ODM(주문자개발생산) 시장 경쟁 심화
• 코스맥스, 인터코스, 바이오트로닉스 등 글로벌 ODM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
• 글로벌 화장품 기업(로레알, 에스티로더 등)의 내부 생산 확대 전략으로 ODM 의존도 감소.
• 국내 ODM 기업 간 경쟁 심화 → 마진율 압박.

3. 제약·건강기능식품 부문 성장 둔화
• 한국콜마제약(의약품 CMO 사업) 및 건강기능식품 사업 부문이 기대보다 빠르게 성장하지 못함.
• 건강기능식품 시장 경쟁 심화(정관장, CJ제일제당, 풀무원 등과 경쟁).

 

✅ 이동네 중국의존도가 가장컸었던게 문제였던거 같음, 근데 문제는 ODM시장 경쟁도 심화되었다는점이 주가를 크게 끌어내린거 같다.

✔한국콜마 주가상승이유

1. 실적 개선 및 수익성 회복
• 2023년 매출: 약 2.3조 원 (전년 대비 +10% 성장)
• 영업이익: 약 1,600억 원 (전년 대비 +35% 증가)
• 화장품·건강기능식품(헬스&뉴트리션) 부문 동반 성장
2. 중국 시장 회복 및 수주 증가
• 중국 리오프닝 이후 로컬 브랜드 수주 증가
• 중국 법인(무석콜마) 매출 반등
3. 한국콜마제약(의약품 CMO) 성장
• ETC(전문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ODM 매출 확대
• 글로벌 제약사와 CMO 계약 증가
4. ODM(주문자 개발 생산) 시장 내 점유율 확대
• 국내외 화장품·건기식 브랜드의 ODM 의존도 증가
•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연구개발(R&D) 역량 확보

✅ 다행히도 매출이 전년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한게, 주가가 상승추세로 전환한이유, 그리고 중국내 시장회복도 있지만 거기서 수주증가도 한목 하는거 같아보임

✔한국 콜마 호재정리

1. 중국 및 글로벌 시장 확장
• 중국 로컬 브랜드 및 글로벌 화장품사와 협업 강화
• 북미·유럽 시장에서 K-뷰티 ODM 수요 증가
2. 건강기능식품 사업 성장
•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연평균 성장률(CAGR) +9% 전망
•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원료 제품군 확장
3. 의약품 CMO 사업 확대
• 한국콜마제약을 통한 글로벌 제약사 CMO 수주 확대
• 신약 개발 지원 및 바이오 의약품 CMO 시장 진출 가능성

✅ 솔직히 큰 호재는 보이지 않아보이는데, 희망을 걸어보자면 건강기능식품이랑 의약품 CMO사업을 자세히 조사해봐야할듯.

 

LG생활건강

 

화장품주중에 가장 큰대장이였는거 같은데, 주가 하락폭이 완전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바닥은 찍은거 같아보이나, 다시 추세가 반등할지는 더 지켜보는게 좋아보임

✔왜  주가가 하락했나?

1. 매출비중 몰빵의 중국시장 둔화..

• 중국은 LG생활건강의 핵심 시장(매출 비중 약 30~40%)이지만, 중국 경기 둔화 및 소비 위축으로 성장세가 둔화됨.
• ‘설화수’(아모레퍼시픽), ‘디올’, ‘에스티로더’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와의 경쟁 심화로 점유율 하락.
• 중국 로컬 화장품 브랜드(퍼펙트다이어리, 화시쯔) 급성장 →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경쟁력 약화.

2. 면세점 채널 부진
• 중국 따이궁(보따리상) 의존도가 높았던 면세점 매출 감소 → 수익성 악화.
• 중국 정부의 면세 쇼핑 규제 강화(하이난 면세점 성장)로 한국 면세점 매출 둔화.
• 면세점 할인 경쟁 심화 → 브랜드 가치 하락 및 마진율 저하.

3. 실적 성장 둔화 및 수익성 악화
• 2023년 매출: 약 7조 원 (전년 대비 -5% 감소)
• 영업이익: 약 5,000억 원 (전년 대비 -10% 감소)
• 주요 원인: 화장품 부진, 면세점 매출 감소, 중국 시장 점유율 하락

4. 생활용품·음료 부문 성장 정체
• ‘페리오’, ‘엘라스틴’, ‘온더바디’ 등 생활용품 브랜드 매출 정체 → 경쟁 심화
• ‘코카콜라’ 국내 독점 유통사지만, 음료 사업 성장 한계 → 고성장 기대 어려움

✅ 여기는 당분간 희망이 없어보인다. 다른 화장품 관련주들은 실적이라도 잘나왔는데, 실적도 계속 감소중임.. 비중이 9%라 무시못하지만, 다행히 차트상 바닥이라 더 올라갈일도, 떨어질일도 없어서 Tiger 화장품ETF 주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아보임.

✔LG생활건강 호재정리

1. 중국 시장 재성장 가능성
• 중국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 연평균 성장률(CAGR) +7% 전망
• 왕홍 마케팅 및 현지 맞춤형 제품 출시로 점유율 회복 기대
2. 북미·동남아 시장 확대
• 미국 세포라(Sephora) 및 울타(Ulta) 입점 브랜드 확대
• 동남아 및 중동 시장에서 ‘후’ 브랜드 인지도 증가
3. 프리미엄 브랜드 강화
• ‘후’, ‘숨37°’, ‘오휘’ 등 고급 라인업 확장
• 한방 화장품 및 기능성 스킨케어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호재라고하기엔 좀 약하지만, 희망을 걸자면 북미 동남아시장에서 잘팔리길 기도하는수밖에 없어보여서..안타깝다

아모레퍼시픽

 

여기도 차트보면 답없음, 완전 개미지옥차트 바닥은 잡은거 같아보여서 다행

✔왜 떨어졌나?

1. 중국 시장 성장 둔화 및 경쟁 심화
• 중국은 아모레퍼시픽의 핵심 시장(매출 비중 약 30~40%)이지만, 최근 중국 경기 둔화 및 소비 위축으로 성장세 둔화.
• 중국 로컬 브랜드(퍼펙트다이어리, 화시쯔 등)의 급성장으로 시장 점유율 하락.
•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디올, 에스티로더, 샤넬 등)와의 럭셔리 시장 경쟁 심화 → ‘설화수’의 프리미엄 시장 내 입지 약화.

2. 면세점 채널 부진
• 따이궁(보따리상) 수요 감소로 면세점 매출 감소 → 수익성 악화.
• 중국 정부의 **면세 쇼핑 규제 강화(하이난 면세점 성장)**로 한국 면세점 의존도가 높은 아모레퍼시픽 타격.
• 면세점 내 브랜드 간 할인 경쟁 심화 → 마진율 저하 및 브랜드 가치 하락.

 

✅ 여기도 중국의존도가 큰게 원인,,


✔아모레퍼시픽 호재정리

1. 중국 및 글로벌 시장 성장
• 중국 고급 화장품 시장 연평균 성장률(CAGR) +7% 전망
• 북미 및 동남아 시장 확대(세포라·울타 뷰티 입점 증가)
2. 프리미엄 브랜드 강화
• ‘설화수’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포지셔닝 강화
• ‘헤라’, ‘라네즈’, ‘이니스프리’ 리브랜딩 추진
3. 디지털·MZ세대 타겟 마케팅 확대
• SNS·라이브커머스·이커머스 매출 증가
• AI 피부 분석 기반 맞춤형 화장품 서비스 도입
4. 실적 개선 신호
• 2023년 매출: 약 4.1조 원 (전년 대비 -3% 감소, 하지만 회복세)
• 영업이익: 약 2,200억 원 (전년 대비 +25% 증가)

✅ 호재는 없어보이고,, 실적이라도 반등?한거같아서, 떨어질일도 상승할일도 없어서 ETF에 영향을 크게 주지 않을거같아서 다행임

브이티

 

차트로만 보면 조정주면 아주 건강하게 잘 올라가는거 같아보임, 엘리어트파동상 5파일수도 있으니, 단기 조정주의

✔왜 상승했나?

1. 중국 시장 매출 반등
• 중국 리오프닝 이후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수요 회복
• 왕홍 마케팅·웨이보·샤오홍슈 채널 활용한 판매 증가
2. K-뷰티 및 K-헬스 트렌드 수혜
• 중국 및 동남아에서 한국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인기 지속
• ‘시카 라인’, ‘BT21 콜라보’ 제품 중국·일본서 높은 판매 성장
3. 실적 회복 기대감
• 2023년 매출: 약 2,500억 원 (전년 대비 +15% 성장)
• 영업이익: 약 300억 원 (흑자 전환 예상)
• 화장품·건강기능식품 부문 동반 성장
4. 엔터테인먼트 콜라보 마케팅 효과
• ‘BT21’, ‘BTS’ 브랜드 컬래버 제품 중국·일본서 인기 지속
• 글로벌 K-팝 팬덤 대상 판매 증가
5. 다이소 "리들샷" 흥행의 주인공 제조회사

✅ 실적도 성장했고, 특히 다이소에서 리들샷이 대박터져서 크게 상승한거같음, 리들샷말고도 다른제품이 잘팔리는지 확인해야할듯.

✔브이투 호재정리


1. 중국 및 글로벌 시장 확장
• 중국 전자상거래(티몰·징둥) 판매 채널 강화
• 일본, 동남아, 중동 등 신흥 시장 진출 가속화
2. 건강기능식품 사업 성장
• 프로바이오틱스, 이너뷰티 제품 확대
• 한국 및 해외 시장에서 기능성 제품 수요 증가
3. MZ세대·K-팝 팬덤 마케팅 강화
• 글로벌 K-팝 IP(지식재산) 기반 제품 확대
• SNS·라이브커머스 중심 디지털 마케팅 투자 증가
4. 신제품 출시 및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 프리미엄 스킨케어, 클린뷰티·비건 화장품 출시 예정
• 건강기능식품·헬스케어 부문 신제품 개발


신흥시장의 진출한다고 하니 이것도 좋은호재이며,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도 좋아보임

실리콘투

최근에 크게 상승했지만, 장대 양봉을 다 잡아먹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음, 개인적으로 여기서 반등하지 못하면 다시 16000원대 올 가능성 높음

📌왜 상승했나?

1. 중국 및 글로벌 온라인 시장 성장
• 중국 리오프닝 이후 한국 화장품 수요 증가
• 티몰(Tmall), 징둥(JD.com), 샤오홍슈 등 중국 이커머스 채널 매출 확대
2. 실적 회복 기대감
• 2023년 매출: 약 2,000억 원 (전년 대비 +20% 성장 예상)
• 영업이익: 약 150억 원 (흑자 전환 기대)
• 국내외 이커머스 사업 확대 및 비용 절감 효과
3. K-뷰티 온라인 유통 플랫폼 경쟁력 강화
• 자사몰 ‘스타일코리안’ 글로벌 매출 증가
• 한국 화장품 브랜드와 협력 확대 (클리오, 에뛰드, 닥터지 등)
4. 해외시장 다변화 및 신규 채널 확장
• 동남아, 북미, 유럽 등 글로벌 시장 확장
• 아마존, 라자다, 쇼피 등 해외 유통망 확대

실적증가하는 흐름도 좋고, 해외시장 다변화로 인한 상승

✔실리콘투 호재정리

1. 중국 및 글로벌 K-뷰티 시장 성장
• 중국 화장품 시장 연평균 성장률(CAGR) +8% 전망
• 동남아 및 북미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수요 증가
2. D2C(Direct to Consumer) 모델 강화
• 자사몰 ‘스타일코리안’ 직접판매(D2C) 확대로 수익성 개선
• AI 기반 맞춤형 화장품 추천 시스템 도입 가능성
3. K-뷰티 브랜드 협업 및 독점 유통 확대
• 국내 인기 화장품 브랜드와의 독점 판매 계약 확대
• 자체 브랜드(PB) 상품 출시 가능성

✅ 실리콘투 호재는 크게 없는거 같고, 최근에 실적 실망감으로 떨어졌다고하니, ETF주가에 좀 영향이 있을거같음

 

 

 

 

4. Tiger 화장품 ETF 매수해도 될까?

다시한번 복기한다. 비중이 높은 종목이 ETF 방향을 결정한다!!

파마리서치: 최근에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 조정받을가능성 큼, 

코스맥스 : 바닥찍고 상승중

에이피알 : 실적,호재 ,차트도 완벽

한국콜마: ETF주가에 영향을 줄 하락크게 없어보임

LG생활건강: 실적,차트 바닥찍음

아모레퍼시픽: 실적, 차트바닥찍음

브이티: 실적은 좋은거같은데 ,차트도 나쁘지 않음

실리콘투: 여기는 이미 조정받은거같아서, ETF에 영향 안줄거같음

 

결론: 제일 비중높은 파마리서치 조정준뒤 에이피알이랑, 브이티랑 같이 상승때리면 다시 Tiger화장품 ETF 주가 5000원대 갈수있을거같음

(근데, 개별종목 사면되지않나요? 라고 물어보면 이건 온전히 IRP,개인연금하는사람들 위한 추천종목)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